확신 따위 없어도 괜찮아

제품을 어떤 식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내 확신이 틀리는 경우는 생각보다 많다. 자기 주장이 옳다고 싸우기보단 합리적인 가설을 세우고 무엇을 먼저 테스트할지 의논하는 게 더 건설적이다.

확신 따위 없어도 괜찮아
Lean Startup의 핵심은 이것이다. 나중에 추가된 복잡한 방법론은 너무 heavy해져 초기 스타트업에 큰 도움이 안된다는 게 요즘 내 생각이다.


한국은 오늘 대선이다. 미국에서 내일 아침 일어나면 당선자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선거 몇 달 전부터 대선에 대한 의견이 페이스북에 많이 보였는데, 대부분 어떤 후보가 최악이라거나 내가 지지하는 후보가 새 시대를 열것이라는 내용이었다. 나도 지지하는 후보는 항상 있다. 하지만 그 사람의 당선은 밝은 미래를 열고 경쟁후보는 나라를 망칠 거라고 생각하진 않는다. 살아보니 세상은 그리 단순하지 않고 내가 확신했던 일의 결과가 반대로 나오는 것도 많았다. 그런 경험이 쌓이면서 일종의 상대주의자 - 절대적 진리는 없고 각자가 믿는 진실만 있다는 - 가 되어버려 나에게 강요만 하지 않는다면 지구 온난화를 부정하는 사람과도 친구로 지낼 수 있다.

십여년전 창업할때 두명의 미국인 공동창업자가 있었다. 그 둘도 첫 창업이었기에 돌이켜보면 초보자들끼리 헛짓거리 많이 했다. 처음 서비스 기획 단계에서 의견이 첨예하게 갈리는 지점이 있었는데 나는 그 친구들 주장대로 가면 애초 우리가 생각한 아이덴티티가 무너질 거라고, 내가 시작한 사업 아이디어를 그들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고 생각했다. 잠을 설칠 정도로 흥분하고 고민해서 내 주장을 폈고 그들이 동의해 첫 서비스는 내 확신대로 만들었다. 결과는? 기대만큼 잘 나오지 않아 2년 정도 서비스하다가 그때까지의 사용자 data 분석 결과를 본 후 서비스를 갈아 엎었다. 새 서비스는 2년전 공동창업자들이 주장했던 형태에 더 가까웠다.

Lean Startup Method는 내가 창업할때쯤 등장했고 Growth hacking 개념이나 Mixpanel같은 data analytics tool은 4년 뒤쯤 생겼다. 지금의 웹/모바일 서비스에서 활용하는 방법론 대부분이 그 시기에 탄생한 것 같다. 덕분에 몇 년 뒤에는 사용자 행동을 실시간으로 보고 더 나은 판단을 할 수 있게 되었고 '가설-->제품구현-->검증'이라는 린스타트업 방식을 작은 의사결정에도 활용하려 노력했다.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 나 포함 열띤 토론을 거쳐 가설을 정했는데('홈피 네비게이션에서 browsing용 메뉴보다 search box가 더 유용할 것이다.'같은 것들이다.) 나보다 똑똑한 젊은 친구들과 함께 만든 가설도 실험해보면 생각과 다른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많았다. 대충 반은 맞고 반은 틀렸던 것 같다. 그런 경험이 쌓이면서 상대주의적인 경향이 점점 더 강해졌다. 내 머릿속에 떠오르는 제 일감(바둑 용어. 척 보면 거기 둬야 한다고 확신이 오는 착수위치)을 믿지 않게 되었다. 그래서 나는 '뭐가 맞는지 논쟁하는데 시간쓰지 말고 어떤 가설부터 실험할 것인지 정하자'는 주장을 하게 됐는데, 좋은 점이 많았다. 확정된 결론이 아니라 가설을 실험한다고 생각하면 한번에 너무 많은 기능을 넣기 겁나고(가설이 틀리면 폐기해야 하니까) 저절로 MVP만 만들게 된다. MVP는 '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제품의 최소 형태'가 아니라 실험하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최소한의 실험셋팅이다. 지금은 린스타트업 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방법론이 되어버렸지만 핵심은 가설에 따른 따른 MVP 개발과 사용자 반응 결과에 따른 결정이다.

2016년 실리콘밸리의 한국인 컨퍼런스 발표자료의 하나. 그때나 지금이나 생각이 바뀌지 않았다.

초기 투자를 해보니 그것도 비슷했다. 내가 확신하고 투자한 사업모델이 먹히지 않는 경우도 많았고 긴가민가했던 사업이 길을 찾아나가며 성장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건 무조건 되겠네'같은 나의 확신도 객관적으로는 나의 편향된 의견(biased opinion)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초기 투자를 하면 할수록 더 느끼게 된다. 그래서 나는 '요즘 실리콘밸리에서 뜨는 기술'같은 원고를 의뢰받으면 고사하는 편이다. 가트너나 포레스터리서치 예측도 자주 틀리는 걸 봐 왔는데 감히 내가 '이 기술이 뜰 거다'고 얘기하는게 거짓말 같아서다. 생각이 없는 건 아니지만 남들에게 예언할만한 확신은 어떤 일에도 없는 편이다.

2016년 발표의 또다른 슬라이드. 바둑은 이후 누구나 인공지능 보고 배우는 것으로 바뀌었고 프로기사들도 알파고 이전처럼 이 수는 나쁘다 좋다 애기를 자신있게 하지 않는다. 상대주의의 만연(?)

투자에서도 내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오는 경험이 쌓이면서 제품 없이 사람과 아이디어만 있는 초기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나만의 관점을 계속 만들어 나가고 있다. 글로 잘 정리할 가치는 없는 나만의 잡 철학이지만 극단적인 사람 중심 판단으로 흘러가는 것은 분명하다. 내가 내 생각을 못 믿으니 나보다 더 나은 결정을 내려줄 사람을 찾을 수밖에.  

내 주변에도 미래를 잘 예측하는 분들이 있다. 그 이야기를 들으면 정말 그렇게 될 것 같다. 왜 나는 이렇게 머리가 나쁠까, 똑같은 기술 흐름을 보고 있는데 왜 저렇게 예측할 수 없을까 루저같은 생각이 들 때도 있다. 하지만, 마음속에 답이 딱 떠오르지 않아도 좌절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 어차피 내 확신도 틀릴 확률이 반반이니 합리적인 선에서 가설을 세워 실험해보면 된다. 가설 검증의 사이클을 가열차게 돌릴 마음가짐만 있다면, 남들이 마음 속에서 한가지 정할 때 두가지 실험하겠다는 근성만 있으면, 내 마음속에 올라오는 확신을 누르고 어떤 가설을 실험할지 팀원들과 열린 마음으로 의논할 수 있다면 확신이 있을때보다 더 좋은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 매사에 판단하지 말란 얘기가 아니다. 확신이 있든 없든 판단은 내려야 하고 행동은 취해야 한다. 다만 '이건 무조건 이렇게 될 거야' 대신 '현재 정보로는 이 판단이 최선이니 행동하지만 결과는 다를 수도 있다. 그 경우 backup plan은 이거다'고 생각하고 실행하면 된다.

대표 의견이 더 힘을 가지는 것은 어느 회사나 마찬가지다. 미국에서조차 Top의 확신에 찬 의견에 반기를 드는 것은 쉽지 않다. 어떤 대표가 될 것인지는 다른 글에서 썼듯 내 ego가 중요하냐 게임에 이기는 게 중요하냐의 문제로 귀결된다. 상식적으로 봐도 내 확신을 따르기보다는 재능있는 동료의 속 생각까지 끄집어내어 결정해야 더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 대표든 누구든 1) 계급장 떼고, 2) 누구나 틀릴 수 있다는 데 동의하고, 3) 실험할 가설과 실험 순서를 정하는 식으로 일하면 많은 경우 더 좋은 결과를 얻을 것으로 생각한다.